YONG SIK PARK
The Machines Valiant and Simultaneously Gentle
"Art and Discourse", Fall 1999 Issue
By Lee Seon-young, Art Critic
Many of the machines artists made often appear to be absurd and in fact have no any specific function. In other words, they remain abstract. They are, so to speak, shown to the spectator. Standing in front of them, the observer broods about their function and meaning. At the moment the machines and the viewer are conceivable at the same level.
The last May exhibition of Park Yong-sik presented works of art whose subject matter was Mazinger Z. The machines, as do living creatures and art, go through the processes of evolution and mutation, reciprocating effects on the environment. Since the late 18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were several technological revolutions generated by a mode of capitalistic production system. Ernest Mandel largely divided them into three phases: productions by steam since 1848, productions by electricity since the 1890s, and productions by electronic and nuclear power since the 1940s. The three phases encompass market capitalism, monopoly capitalism(or imperialism) and multinational capitalism. The stages are equivalently categorized into realism, modernism and postmodernism by Fredric Jameson.
Park Yong-sik at the exhibition posed haughtily for the camera in Mazinger Z costume, showing its sturdy-looking glittering arms. That is not a high-tech image but the image of a gigantic super robot in the industrial age. All kinds of industrial machines generate physical strength, while representing the human body based on their physical exercise. As Springer puts it, an industrial machine body is associated with any phallus force.
Park Yong-sik's muscular robot images are a metaphor for the masculine domination of technology. The robot's helmet, boots and gloves represent masculine strength and its weapons are symbolic of its technical rendition. The robot with these murder weapons confronts femininity(or natural quality). Park's robot, machine and garb are used as ornaments. As indicated by the exhibition title, he defends the earth with metal-made lethal weapons.
Elizabeth Badinter in her book points out that a struggle to tide over effeminateness and passivity is definitely required to become a man. Some male leads in films such as cowboys, Rambo and Terminator demonstrate their super masculine images. A model of masculinity turns to a machine from a human with flesh and blood. Park Yong-shik in a robot garment shows a childlike dream and presents the anachronistic imagery of the industrial age, namely masculine machine, performing a costume play with his friends.
It is often said phallogocentrism is still now an assertive ideology. This is manifested in the history of sculpture. As Jacques Lacan indicates, phallogocentrism has an immense effect on our logos. According to Badinter, some males consider their own phalluses a tool for perfection or a thing separated from themselves. Park Yong-sik sets on the wall lots of undersized forearms around the robot's forearm emblematic of a hard phallus. The tiny forearms seem not so staunch like the playthings of an inferior quality. Through these two kinds of robot forearms, Park shows the two contrasting sides inherent in an archetype.
For modernists such as futurists and Russian constructivists, as Fredric Jameson puts it, their concerns with the machine was to reconstruct the entire aspects of human society. Such kind of masculine progress, however, sacrificed the majority of people. That was a sort of dogmatism like fascism. Park Yong-sik's show is entitled "Defend the Earth"by himself. By doing it he intends to deter the progress of production-oriented and male-dominating ideologies. According to Springer, post-modern reproductive machines are undersized and work silently because they are made of built-in minute circuits. They differ from the machines of the industrial era which are oversized and generate powerful energies. In the 20th century the latter is replaced by the former which is usually operated by the microelectronic circuits. In the age of information we are now living, the world is maintained by the visually concealed machines.
As Fredric Jameson states, these new machines, differently from the machines of the modern period, are represented not by movement itself but by their moving states. A variety of media such as computers have a flat surface showcasing video images. The flat images shown in TVs and computers are pervasive in the contemporary surroundings and thus our perceptual capability also remains flattened. That is an attribute of contemporary cultures, namely the true nature of not profound, superficial postmodern aspects(F. Jameson). Park's works, departing from the conventional norms of sculpture, takes intentionally on the outer appearance of a commodity. His artworks on display have the imagery of industrial products.
Industrial products appear to be beautiful in that they are properly made in accordance with purpose and material. As Hans Bellmer puts it, the aesthetic of industrial design refers to the exactitude of form, i.e. the symbol of function(functionalism). The formation of a bicycle, for example, is apparently rendered by its purpose. The long-held axiom of functionalism that "form pursues function" implies the appropriate use of materials and transparency of the composition.
Popularized functionalism, however, contributes to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verwhelmed by capital and bureaucracy. It causes the flood of uniform and almost identical commodities.
The production of Park's burdensome 'armor' and poor playthings is derived from this tendency.
According to Jean Baudrillad, modern design is intended to harmonize the understructure of technology and society and the superstructure of form and meaning and to generalize the system of exchange value and symbols to maximize the functions of things. What decides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values of our surrounding goods is the consistency of this system.
As a result, the style of art and fashion has altered.
What surrounds us now, Baudrillad asserts, is not nature but its replicas. An artificial environment consists of the nets of messages and symbols. What the artist presents is not merely commodities or artworks but symbols as the peak of goods(Baudrillad). Baudrillad considers that modern design dominates the signified(an objective evaluation of functions) but the signifier achieves a triumph. The signify, however, is not always obvious like the things before our eyes.
Its function is limitless and out of all kinds of controls. A crisis in functionalism lies in this point.
The era of function and signified has gone and emerges the age of signify. The elements of such crisis are already inherent in functionalism.
In the one extreme of functionalism are surrealistic objects and by it is a Kafka's man, a product of modern bureaucracy. Design, as does economy, relies on reasonable abstraction for its existence but such rationality is in fact so absurd. Artists today strive to face this absurdity. Park Yong-sik, as did Charlie Chaplin, intends to disclose the irrationality of modernity by disguising himself ludicrously in Mazinger Z clothes.
They are not blindly dazzled by the commodity fetishism of capitalism and would not see it as the subject of ostracism and overthrow. Young artists are playfully enchanted by it and willingly become its admirers. Works of art and commodities are blended here: art turns to a commodity and vice versa. We witness at the exhibition a group of youngsters who are playing in the boundaries between artwork and commodity
<기계들의 씩씩함과 부드러움> 미술과 담론 가을호 전시비평 1999
예술가들은 부조리한 기계들을 많이 만들어 낸다. 그러나 그러한 예술적 기계들은 실제적으로 어떤 기능을 가지는 것은 아니다. 말하자면 그것들은 추상적인 사물들이다. 굳이 어떤 기능이 있다면 그것은 관객에게 보여지는 것이다. 관객은 그 부조리한 기계 앞에 서서 그것의 의미를 궁리하기 시작하고, 그 순간 그 기계와 관객은 동일한 차원에서 작동되는 것이다. 들뢰즈가 말했듯이 '실제로 구분되는 두 부분간에 소통이 있자 마자 거기에 기계가 있다.
지난 5월에 있었던 박용식 전은 마징가-Z를 소재로 한 작품을 선 보였다. 기계도 생물처럼, 그리고 예술처럼 진화와 돌연변이를 거치며, 환경에 영향을 받기도 하고 주기도 하며 변형된다. 만델은 18세기 말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적 생산양식에 의하여 생성된 기술상의 혁명들은 크게 3단계--1848년 이후 증기,1890년대 이후 전기,1940년대 이후 전자 및 핵 동력장치들의 기계생산--의 근본적인 혁명들로 구분한다. 그 세 단계는 시장 자본주의, 독점, 또는 제국주의 단계, 다국적 자본주의에 해당되며, 여기에 프레드릭 제임슨은 리얼리즘, 모더니즘, 포스트 모더니즘을 대응시킨 바 있다.
박용식은 마징가-Z 기계/의상을 몸에 걸치고 잔뜩 폼을 잡고 사진을 찍기도 하고, 번쩍거리는 강력한 로봇 팔을 보여주기도 한다. 그것은 하이 테크놀로지적인 이미지라기 보다는 지나간 산업시대의 '추억의' 로봇, 마징가-Z이다. 산업기계는 물리적인 힘, 즉 펌프질하고 갈고 도는 부품들의 힘에 의존하며, 모더니즘 역시 물리적 운동에 기초하여 신체를 기계로 재현한다. 스프링거에 의하면 산업적인 기계육체는 남근적인 힘과 연관된다. 산업혁명 이후 상승하는 부르조아의 욕구는 남/녀의 구별을 더욱 확고히 하면서 남성을 메마름, 딱딱함, 물리적인 힘과 결부시켰던 것이다.
박용식의 근육질 로봇 이미지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남성적 지배력을 은유한다. 헬멧, 부츠, 장갑 등의 부속기구들은 남성적 힘을 표상하고 있으며, 그것과 상징적인 등가물인 무장은 강력한 기술적 남성을 과시하고 있다. 이러한 무장 살인기계는 연약한 인간의 자아를 갑옷처럼 감싸면서, 유동적인 여성성(그리고 자연성)에 대항한다. 박용식의 로봇/기계/의상은 장식이자, 단단한 금속 육체무장으로 자신을 요새화하며, 이것들을 착용하고 (전시 타이틀 처럼) '지구를 지킨다’
E.바뎅테는 남성성의 신화를 해체하는 한 저서에서 남성이 된다는 것은 나약함이나 수동성에 굴복하지 않는 끊임없는 투쟁이라고 본다. 카우보이에서 람보를 거쳐 터미네이터에 이르는 영화 속의 남자 주인공들은 초남성성의 이미지를 보여준다. 남성성의 모델은 피와 살이 있는 인간에서 하나의 기계로 전환된다. 기계를 통한 사나이다움의 환상. 그러나 그것들은 남성들에게도 너무 힘들고 억압적인 의무인 것이다. 박용식은 삐걱거리는 로봇(그 물건은 그의 몸에 잘 맞지 않는다)을 걸치면서, 순진한 소년같은 꿈을 보여주며, 친구들과 함께 가장(假裝) 놀이도 하면서, 외적으로 막강한 남성적 기계라는 산업시대의 시대착오적인 이미지를 연출한다.
남근이성중심주의phallogocentrism는 현재에도 완전히 사라졌다고는 할 수 없는 지배이데올로기로서, 그 영광을 기념하기 위해 위풍당당한 기념비가 세워진다. 조각의 역사 자체가 그것을 대변하고 있다. 라캉도 지적하듯이 남근 찬양이 우리의 로고스(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한 것이다. 바뎅테에 의하면 남성성의 노예가 되어 자신의 성기를 완성의 도구, 또는 자신으로부터 분리된 하나의 사물로 생각하는 남성까지도 생겨난다. 그러나 남성의 성기는 그 남성의 존재에 있어서 가장 약한 부분이기도 하다. 박용식은 단단한 남근의 상징이기도 한 로봇 팔뚝 주위에 '새끼 팔뚝들'(로켓트 주먹 II)을 수없이 복제하여 벽면에 가득 설치해 놓는다. 그 작은 팔뚝들은 별로 튼튼해 보이지 않으며, 동네 앞 구멍가게의 불량 장난감들처럼 조악하게 포장되어 있다. 박용식은 두 종류의 로봇 팔뚝을 통해 한 원형에 내재하는, 강함과 약함의 양면성을 보여주고 있다.
F.제임슨이 말하듯, 미래파 및 러시아 구성주의 등 모더니스트들의 기계에 대한 흥분은 인간 사회 전체의 프로메테우스적인 재건을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런 식의 '남성적' 진보는 대다수의 타자들을 희생시켰던 독단이자 파시즘이기도 했다. 박용식은 <지구를 지켜라>라는 전시 타이틀을 붙였는데, 그는 이로서 근대 산업사회를 지배했던 생산주의 및 (남성적)진보 이데올로기를 소격시키는 셈이다. 스프링거에 의하면 포스트 모던적 재생산 기계는 극소화 회로를 내장하고 있어, 작고 조용하게 작동하며, 그 모습이 화면 뒤에 감추어져 있다. 그것은 산업시대의 기계가 가진 거대한 크기와 에너지와 차이가 있다. 20세기말의 사물들과 기계는 복잡한 극소 전자 회로에 의존하는 체계로 대체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정보 시대는 시각적으로 감춰진 기계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다.
F.제임슨이 말한 바 있듯이, 새 기계는 근대적 기계와는 달리 움직임이 아니라,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만 재현된다. 현대의 기술은 근대적 기계가 가진 재현력을 더 이상 가지고 있지 않다. 겉으로 봐서는 아무런 상징적, 시각적 힘을 가지지 않는 컴퓨터를 비롯한, 여러 매체들은 납작한 영상 표면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벨머도 같은 맥락에서 전자공학 시대의 생산물들은 침묵하고 있는 괴물과 같고, 단지 밋밋한 표면만으로 가시화 되고 있어서, 그 표면은 일상적인 사물들이 원자핵 속의 운동들을 숨기고 있는 것과 같이, 감각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그 무엇을 숨기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현대적 환경의 표면을 싸고 있는 것은 TV나 컴퓨터 화면같은 평면적 이미지이며, 그 속에서 숨쉬고 있는 우리의 모든 지각 경험 역시 평면화 되어간다. 그것이 현대문화의 속성, 즉 '포스트모던적 깊이 없음'(F.제임슨)의 실체일 것이다. 박용식의 기계/작품/제품들은 전통적인 조각의 아우라를 벗어 던지고, 의식적으로 상품의 외양을 띄고 있다. 실제로 전시 공간에 놓인 작품은 마치 제품과 같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산업생산물들은 그것들이 재료에 맞고 목적에 적합하게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아름답다 벨머는 산업 디자인의 미는 형식의 정확성, 즉 기능의 기호라고 말한다.(기능주의) 예컨대 자전거 같은 물건은 그 구성이 명백한 목적에 따라 가시화 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형식이란 기능을 따른다'는 기능주의의 공리는 재료의 적절함과 구성의 투명성을 의미하고, 더 나아가 하나의 도덕적, 미학적 순화와도 같은 것이다. 벨머는 초기 비트겐슈타인을 상기--'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 우리는 침묵을 지켜야 한다'--하면서, 기능주의적 공리를 '어떤 의미(기능)도 갖지 못하는 것은 나타나서는 안 된다'고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통속화 된 기능주의는 자본과 관료주의적 계획에 복종하는 근대화 과정에 봉사하기도 한다. 그것이 때론 우리들을 숨막히게 하는 획일적 사물(상품)들의 쇄도이자, 현대 사회가 강요하는 동일성에의 함몰이다.
이러한 경향이 박용식의 작품 같은 거추장스러운 '갑옷'과 불량 장난감들을 만들어 낸다. 보드리야르는 <기호의 정치 경제학 비판>에서 야금술적 사회에서 기호술적 사회로의 변화를 설명한 바 있다. 그 시작은 바우하우스로 대변되는 근대 디자인이다. 보드리야르에 따르면 근대 디자인은 모든 것이 기능 계산과 의미작용의 대상으로 환경이 바뀌는 것이다. 근대 디자인은 산업혁명에 힘입어 정립된 기술적 사회적 하부구조를 형태 및 의미라는 상부구조와 조화시키려 하며, 물건들의 기능성을 극대화한다는 구실 아래, 교환가치/기호의 체계를 일반화한다.
우리를 에워싼 물건들의 심미-기능적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체계의 일관성이 된다. 그리하여 미술의 형식 및 유행의 주기적인 변화가 생겨난다. 유선형 역시 그러한 '유행의 체계'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속도와 무관한 사물들에게도 유선형의 디자인이 부여되는 것은 기호가 바로 해석의 체계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그 유선형의 상품(=디자인)은 속도=진보라는 근대적 상징으로 읽혀진다. 박용식의 로봇 팔뚝은 유선형의 완벽한 선을 작품의 테두리로 삼고 있다. 그러나 무엇을 위한 유선형인가는 뒤로한 채 수수께끼 같은 반사광을 발하고 있을 뿐이다.
보드리야르에 의하면 우리의 주위를 에워싸는 것은 이제 자연(위대한 기의이자 지시대상)이 아니라, 자연의 모사모형인 환경이다. 자연과 달리 인공적인 환경은 전언 및 기호의 망으로 이루어져 있다.(물론 과학자들에겐 자연도 그런 식으로 보여지지만) 그것은 마치 공기처럼 우리에게 스며든다. 이처럼 상품화(=정보화)된 환경에서 자라난 신세대 작가인 박용식이 보여주는 것은 단순한 상품이나 예술작품이 아니라,'상품의 절정으로서의 기호'(보드리야르)인 것이다. 기술이 평준화되어 기능의 차이가 없이 경쟁하는 상품들은 기호성의 차원에서 차이가 나게 한다. 그러나 기능성의 차이가 없어지면, 이미 기호성의 차이도 끝이 난다. 보드리야르에 의하면 근대 디자인은 기의들에 대한 지배(기능들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구가하는 듯하나, 승리를 거두는 것은 기표들의 작용이다. 그러나 기표는 우리 앞에 있는 물건들만큼 자명한 것이 아니다. 기표들의 작용은 무제한이고 모든 통제를 벗어난다. 여기에 기능주의의 진정한 위기가 있다. 이렇게 기의와 기능의 시대는 가고 기표의 시대가 도래하였다지만, 위기의 요소들은 이미 기능주의에 내재해 있었다. 말하자면 그것은 전후의 관계라기 보다는 거의 동시적으로 발생한다. 보드리야르에 의하면 한 물건의 부조리성을 솟아오르게 하는데는 그 기능성 원칙을 철저하게 밀고 나가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러한 기능주의의 극단에는 초현실적 오브제가 있고, 그 옆에는 근대적 관료주의의 산물인 카프카적 인간이 있다. 디자인도 경제와 똑같이 합리적인 추상이라는 토대 위에 존재하는데, 그 합리성이 실질적으로는 매우 부조리한 것이다. 오늘날의 예술가들은 이러한 부조리한 수수께끼와 대결하려 한다. 박용식은 마징가-Z 의상을 입고 우스꽝스럽게 분장함으로서 마치 <모던 타임스>의 찰리 채플린처럼 근대성의 부조리를 들추어낸다.
그들은 그러한 자본주의의 물신성에 무작정 현혹되거나, 반대로 전적인 거부, 내지 그것들을 타도해야 한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젊은 작가들은 그러한 기만적인(?) 물건들에 알면서도 즐겁게 유혹되며, 그 안에서 놀기도 하고, 기꺼이 물신(物神) 숭배자가 되기도 한다. 바로 그 지점에서 예술과 상품은 물신이라는 도착적인 쾌락으로 서로를 부둥켜안는다. 상품은 예술이고, 예술은 상품이 되는 것이다. 이 전시회에서 우리는 예술과 상품의 경계에서 유희하는 젊은이들을 보게 된다. 이선영(미술평론)